한국 찾은 치매연구 권위자 론 슈나이더 교수
답이 없는 시험문제를 붙들고 수십 년간 풀어야 하는 기분은 어떨까. 치매(알츠하이머) 연구는 답이 없는 시험문제와 같다. 누구나 알고 있지만 아무도 모르는 병이 치매다. 아직까지 딱 부러지는 원인도, 치료법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론 슈나이더 미국 남캘리포니아대 치매연구센터 소장은 세계적인 치매 연구 권위자다. 하지만 그의 치매 연구 역사 속에 있는 것은 `성공`이 아닌 `탐험과 시도`다.
최근 한국뉴욕주립대가 개최한 `제5차 씨놀 사이언스 워크숍` 참석차 방한한 론 슈나이더 교수는 매일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치매는 정복되지 않은 분야지만 연구자는 희망을 가질 수밖에 없기에 꾸준히 새로운 치료방법을 고민할 뿐"이라고 담담한 표정으로 말했다.
대중과 학계에 널리 알려진 론 슈나이더 교수의 연구 발표 중 상당수는 `효과 없음`이다. 지난해에는 중증도 이상의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만틴`의 효과가 빈약하다는 결과를 내놔 세계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그와 연구진은 이 약이 경증 환자에게 투여하면 아무 효과가 없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출시되는 치료제마다 효과를 검증하고 분석해 부정적인 결과를 내놓기에 제약업계에는 악역으로 비쳐질 법도 하다. 하지만 슈나이더 교수는 "순수하게 중립적인 관점에서 학문적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들과 직접적인 갈등은 없었다"고 했다. 오히려 그는 인터뷰를 하며 산업계에 다시 한번 쓴소리를 자처했다.
"제약회사들은 치료제를 재빨리 만들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초기 연구단계를 소홀히 한 채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경향이 있어요. 하지만 최대한의 연구를 통해 효과를 검증한 후 다음 단계를 진행하는 게 비용효율과 환자 모두를 위해 좋은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슈나이더 교수는 새로운 치료법을 찾는 방법으로 `실패에 대한 연구`를 택했다.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과거 임상시험에 활용한 데이터를 분석해 임상 시뮬레이션을 구축하는 것이다. 그는 "전 세계에서 수도 없이 이뤄진 임상시험들은 사실 실패한 데이터"라면서도 "하지만 오랜 실패 연구를 통해 모아진 복합적이고 방대한 자료는 잘 활용하면 다음 치료제 개발을 위한 훌륭한 자산이 된다"고 강조했다. 임상시험 데이터에 활용한 다양한 병증을 가진 환자들을 모아 시뮬레이션을 하고, 이를 통해 초기 치료제 개발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효능 검증을 하도록 하겠다는 게 그의 목표다.
그는 또 "학계와 산업계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 인간이 치매를 정복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면서도 "수명이 길어지면서 치매 환자의 절대적 숫자는 늘어나고 있지만 생활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연령대별 발병률은 낮아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어 매우 고무적"이라고 덧붙였다.
[이새봄 기자 / 사진 = 박상선 기자]
기사원문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808286, 매일경제
![]() |
![]() |
![]() |
![]() |
![]() |
![]() |
---|---|---|---|---|---|
1520 | 치매.파킨슨병 외래진료 매년 증가 | 서울시치매센터 | 2012-12-14 | 32429 | |
1519 | 알츠하이머 치매 일으키는 분자구조 규명 | 서울시치매센터 | 2012-12-12 | 32974 | |
1518 | 고독할수록 치매위험 높아진다 | 서울시치매센터 | 2012-12-12 | 32858 | |
1517 | 머리 흔들기.스트레칭 했더니 '기쁨 호르몬' 증가.. | 서울시치매센터 | 2012-12-12 | 33659 | |
1516 | [Hstory] 연말이면 매일 毒 을 마신다 | 서울시치매센터 | 2012-12-12 | 32376 | |
1515 | 치매환자 뇌위축 원인은 아밀로이드 축적 | 서울시치매센터 | 2012-12-11 | 33837 | |
1514 | '갈란타민' 알츠하이머치매 환자 사망율 낮추어.. | 서울시치매센터 | 2012-12-11 | 34120 | |
1513 | 뇌 속 '페이스메이커' 이식 새로운 알츠하이머치.. | 서울시치매센터 | 2012-12-10 | 33625 | |
1512 | 20대 뇌건강을 80대까지. 뇌건강 유지하는 7가지.. | 서울시치매센터 | 2012-12-07 | 33602 | |
현재글 | " 실패 데이터가 치료제 만들 자산" | 서울시치매센터 | 2012-12-06 | 293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