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치매상담센터·치매 콜센터·장기요양 치매특별등급 활용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급속한 고령화로 우리나라 치매노인 수는 2010년 46만9천명에서 올해 57만6천명에 달하는 등 급증하고 있다. 이 추세라면 2024년에는 치매 노인환자가 100만명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치매노인을 돌보고자 정부가 팔을 걷어붙였다.
정부는 보건소 치매상담센터와 재가서비스 확대, 치매 통합 상담전화 등을 활용해 치매환자와 가족을 위한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노홍인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은 10일 열린 한국-스웨덴 치매포럼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국가치매정책의 현황과 계획'을 발표했다.
복지부는 ▲ 치매 조기발견·예방 강화 ▲ 맞춤형 치료·보호 강화 ▲ 효과적 치매관리를 위한 인프라 확충 ▲ 가족지원 강화·사회적 인식 개선 등을 목표로 치매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기로 했다.
특히 치매를 조기 발견해 중증에 이르지 않도록 만 60세 이상이라면 보건소에서 치매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66·70·74세 검진 대상자를 상대로 인지기능장애검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발견한 치매환자는 국가 치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인지재활 프로그램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재가서비스를 통해 치매환자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
지난해 2천400명에서 올해 4천명으로 늘어난 노인돌봄종합서비스 대상자를 2015년에는 1만명까지 관리할 계획이다.
정부는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기준도 완화해 인지기능 항목을 확대하고 '치매특별등급'을 신설했다. 이를 통해 내년부터는 4만9천명의 치매노인이 치매특별등급으로 분류돼 장기요양보험의 혜택을 받게 된다.
아울러, 중앙치매센터에 치매통합 상담콜센터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콜센터는 다음 달부터 치매환자와 가족에게 맞춤형 정보와 전문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heeva@yna.co.kr
기사원문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478139, 연합뉴스
![]() |
![]() |
![]() |
![]() |
![]() |
![]() |
---|---|---|---|---|---|
1740 | [건강칼럼] 고향의 부모님, 혹시 치매는 아닐까?.. | 서울시치매센터 | 2013-09-23 | 32280 | |
1739 | 서울시, 13일 '치매극복 한마당' 개최 | 서울시치매센터 | 2013-09-23 | 32063 | |
1738 | 송파구, 12일 치매극복걷기대회 개최 | 서울시치매센터 | 2013-09-11 | 32688 | |
현재글 | 치매환자 급증...치매노인과 가족위한 안전망 짠.. | 서울시치매센터 | 2013-09-11 | 32972 | |
1736 | 이대목동병원, 27일 "치매극복의 날" 건강강좌 | 서울시치매센터 | 2013-09-11 | 32826 | |
1735 | "스트레스" 치매.알츠하이머 진행 빠르게 해 | 서울시치매센터 | 2013-09-11 | 32580 | |
1734 | 알코올성 치매 예방하려면 생선 먹어라 | 서울시치매센터 | 2013-09-11 | 31564 | |
1733 | 지중해식 식단, 두뇌기능 ↑ 치매위험↓ | 서울시치매센터 | 2013-09-11 | 31890 | |
1732 | 너무 깨끗해도 병이라더니...치매까지? | 서울시치매센터 | 2013-09-11 | 31838 | |
1731 | 인도에 치매 노인이 없는것은...카레의 비밀 | 서울시치매센터 | 2013-09-03 | 329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