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서울특별시 광역치매센터

검색
전체메뉴 닫기
  • kakaostory
  • twitter
  • facebook

치매관련뉴스

제목 잠꼬대 심한 고령층, 혹시 ‘치매·파킨슨병’ 전조 증상?

등록일
2015-12-24 10:44:19
글쓴이
서울시치매센터
조회
37216
첨부파일

노인들이 겨울철 가장 먼저 지켜야 할 것이 충분한 수면이다. 건강에 신경쓰는 사람들조차, 정작 수면에는 별로 신경 쓰지 않는 사람이 많다.
 
보통 나이가 들면 새벽잠이 없어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아닌 경우도 많다. 때문에, 노인성 수면장애의 경우 단순히 나이로 인한 것이 아니라 다른 내과적 질환이나 만성질환 때문이 아닌지 잘 살펴봐야 한다.
 
치매 같은 퇴행성 뇌질환은 중년 이후의 노인에게서 잘 나타나고 추운 날씨에 더 위험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런 질환이 있는 노인들은 잠을 깊게 자기 힘들고 잠이 들더라도 자주 깨는 수면분절을 겪게 되어 수면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실제로, 수면 중 심하게 잠꼬대를 하거나 발길질을 하는 수면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은 치매나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이 크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있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 연구팀은 노인성 잠꼬대로 내원한 환자 96명을 추적 관찰 한 결과, 65%인 62명의 환자가 치료를 안 할 경우 파킨슨병, 치매로 발전할 수 있는 렘수면 행동장애로 밝혀졌다. 이들 62명 중 76%인 47명은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한진규 원장은 “평소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이 많은 사람은 렘수면 행동장애로 발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뇌에 산소가 부족해져, 의사 결정과 판단에 관여하는 대뇌백질이 더 많이 손상돼 치료를 안 할 경우 치매나 파킨슨병으로 발전할 수 위험도 더욱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진규 원장은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위 노인분들의 경우 잠꼬대가 심하면 파킨슨병 전조 증세로 이해하고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치매나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질환은 중년 이후의 노인에게서 잘 나타나고 환절기에 잠꼬대나 수면 중 이상 행동 빈도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진규 원장은 “가족 중에 잠버릇이나 잠꼬대가 심한 중년 이후의 성인이 있다면 수면다원검사와 같은 종합적인 수면검사를 시행해 잠꼬대 같은 렘수면 행동장애가 있는지 한 번쯤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songbk@kukimedia.co.kr 


기사원문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10191994&code=46121101&cp=nv, 쿠키뉴스

목록
게시판 검색
치매관련뉴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첨부 조회
2470 “내가 도와달라 했는데...” 파킨슨병 노파의 눈.. 서울시치매센터 2015-12-29 36770
2469 치매 환자를 위한 굿모닝 비디오 서울시치매센터 2015-12-29 36432
2468 동대문구, 서울시 치매관리사업평가서 1위 우뚝.. 서울시치매센터 2015-12-29 36536
2467 할머니는 왜 위험한 걸음을 걸었을까? 서울시치매센터 2015-12-28 38115
현재글 잠꼬대 심한 고령층, 혹시 ‘치매·파킨슨병’ .. 서울시치매센터 2015-12-24 37216
2465 알츠하이머가 노인병? 젊은층도 ‘빈번’, 증상.. 서울시치매센터 2015-12-24 36927
2464 복지부, 제3차 치매관리 종합계획(2016~2020) 발표.. 서울시치매센터 2015-12-23 37390
2463 따뜻한 아이디어, 치매 환자를 위한 식기 서울시치매센터 2015-12-23 36610
2462 클린턴, 알츠하이머 퇴치에 매년 20억 달러 지원.. 서울시치매센터 2015-12-23 36173
2461 [치명적 질환, 겨울 치매 ④ ] 인도인들 치매 잘.. 서울시치매센터 2015-12-22 36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