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기억을 개선할 수 있는 약물이 발견됐다.
영국 글래스고 대학과 홍콩 과학기술대학의 공동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 등 치매를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분해하는 ‘인터루킨 33’(IL-33) 단백질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IL-33 단백질은 뇌 조직에 침전물과 신경섬유 뭉치가 생기는 것과 연관성이 있는 염증을 막는다.
또한 이전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일반인보다 뇌에 IL-33 단백질이 적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병에 IL-33 단백질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알츠하이머병을 갖게 한 쥐를 대상으로 뇌에 이 단백질을 주입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러자, IL-33 단백질을 주입받은 알츠하이머병 쥐들이 일주일 만에 기억력과 뇌 기능이 현저하게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이번 연구에 참여한 에디 류 글래스고 대학 교수는 “이 결과가 현재 인간 알츠하이머병과 연관성이 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유의미한 근거가 된다”면서 “임상 시험이 완료될 때까지는 확신할 수 없지만 좋은 시작”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올해 안에 실제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IL-33 단백질을 주입하는 임상 시험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최신호에 게재됐다.
기사원문 -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423601012, 나우뉴스
![]() |
![]() |
![]() |
![]() |
![]() |
![]() |
---|---|---|---|---|---|
2730 | 방향 감각 흐릿해지면 치매 초기 증상? | 서울시치매센터 | 2016-04-29 | 39409 | |
2729 | 밤에 잘 자야 치매 안 걸린다 | 서울시치매센터 | 2016-04-25 | 42450 | |
2728 | 파킨슨병 신체의 운동기능 저하 | 서울시치매센터 | 2016-04-25 | 41046 | |
2727 | 치매는 불치병? 수술로 치료할 수 있는 치매 3 | 서울시치매센터 | 2016-04-25 | 41008 | |
2726 | 잠꼬대 심한 부모님, 혹시 ‘치매’ 전조증상? | 서울시치매센터 | 2016-04-25 | 40134 | |
현재글 | 치매환자 기억력, 1주 만에 개선해주는 단백질 발.. | 서울시치매센터 | 2016-04-25 | 39908 | |
2724 | 가상현실 길찾기 검사로 알츠하이머 조기진단 | 서울시치매센터 | 2016-04-25 | 40031 | |
2723 | 환자보다 보호자와 가족의 고통이 더 크다 | 서울시치매센터 | 2016-04-25 | 39767 | |
2722 | 일부 신경안정제 많이 쓰면 치매 위험 | 서울시치매센터 | 2016-04-19 | 40182 | |
2721 | 늘어나는 ‘치매’…연평균 10% 이상 증가 | 서울시치매센터 | 2016-04-19 | 40129 |